본문 바로가기

ARABOJA

사실상 코로나 방역을 포기한 스웨덴에 대해 알아보자-집단면역, 걸려서 응원하자

What is 집단면역?

 집단 면역이란 감염이나 예방접종을 통해 집단의 상당 부분이 면역을 가진 상태가 되어 집단 구상원의 상당수가 면역력을 갖게된 상태를 말한다. 집단 내의 다수가 면역을 가지고 있으면, 전염병의 전파가 느려지거나 멈추게 된다. 면역을 가진 개인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면역력이 없는 사람이 감염될 확률이 낮아진다.

 

우리나라는 km대비 이구밀도가 500명 가량인데에 비해 스웨덴은 km대비 인구밀도가 23명밖에 안된다. 따라서 이건 집단감염이 일어나도 충분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자신감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 이 집단감염은 우리나라에서는 절대로 불가능 하기때문에 애초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고 있지만 스웨덴은 애초에 사회적 거리가 있는 나라란 것. 북유럽 특유의 선진복지시스템에 대한 믿음이 보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집단감염 자체가 전 국민의 60% 이상이 감염되어서 항체가 생기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스웨덴 인구수의 60%는 최소 600만명이고 코로나바이러스의 치사율을 1%라 가정했을때 최소 6만명이 죽어야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는 완치자도 다시 재발 가능성이 있다고 하지만 사실 완치가 아닐 수도 있다. 바이러스는 일정량 이상이 있어야 정확히 검출되는데 컨디션이 좋아져서 면역은 없지만 바이러스가 많이 줄어들면 검출이 안될 수도 있다. 혹은 완치가 되었어도 컨디션이 안좋다면 아무리 항체가 있어도 바이러스를 제압 못할수도 있다.

 

애초에 의료붕괴가 안되는 선에서는 장기적으론 저렇게 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 코로나 사태가 종식되려면 백신이나 치료제가 나와야 하는데 나오려면 현질적으로 아직은 한참 먼 상황이라, 언제까지고 사람들을 통제시킬 수는 없다. 경제가 이미 개박살이 났고, 앞으로도 나아질 기미는 보이지 않기 때문. 

'의료체계가 버틸 수 있는가?'가 가장 큰 문제다.

 

 

 

 

 

 

세줄요약

1. 스웨덴은 사실상 코로나 방역을 포기.걸려서 응원하자 선언

2. 집단면역을 하려면 전국민의 60%가 걸려야되고 그렇다면 최소 600만명, 치사율을 1%만 잡아도 6만명이 죽어야 한다.

3. 노령화 문제, 사회적 비용 문제 해결을 위한 큰그림..?

 

 
 

 

여러분의 하트♥공감은 초보 블로거에게 큰 힘과 원동력이 됩니다. 감사합니다